2015 야투자연미술국제레지던스 성과보고전Ⅱ | YATOO International Artist in Residence ExhibitionⅡ 2015
페이지 정보
본문
2015 야투자연미술국제레지던스 성과보고전
YATOO International Artist in Residence 2015
■ 전시 기간 : 하반기_ 2015. 10. 24 (토) ~ 11. 14 (토), 월~토 10:00~17:00
■ 전시 장소 : 원골 야투자연미술의 집 (충남 공주시 신풍면 원골예술길 181)
■ 참여 작가 :
클라우디아 아라노비시(Claudia Aranovich) / 아르헨티나
정혜숙(Jung Hye-sook) / 한국
로랑 공고라(Laurent Gongora) / 프랑스
피터 립코비치(Peter Lipkovics) / 헝가리
박소영(Park So-young) / 캐나다
토티 폴리지(Tothi Folisi) / 이탈리아
■ 하반기 성과보고전시 오프닝: 2015. 10. 24(토) 11:00 , 충남 공주시 원골에 위치한 야투자연미술의 집
■ 행사 개요
한국자연미술가협회 야투는 오는 10월 24일(토)에 2015년 하반기 야투자연미술국제레지던스 성과보고전을 공주 원골 야투자연미술의 집에서 개최한다.
올해 초 국내·외 입주작가 공모를 통해 최종 선정된 작가들이 9월부터 10월까지 야투자연미술의 집에서 자연과 더불어 생활하면서 사진, 드로잉, 설치 등 다양한 분야의 작업을 진행하였다. 총 6개국의 6명으로 구성된 입주작가는 클라우디아 아라노비시(Claudia Aranovich, 아르헨티나), 정혜숙(한국), 로랑 공고라(Laurent Gongora, 프랑스), 피터 립코비치(Peter Lipkovics, 헝가리), 박소영(Park So-young, 캐나다), 토티 폴리지(Tothi Folisi, 이탈리아)이다.
하반기 성과보고전은 10월 24일부터 11월 14일까지 열리며, 전시 오픈식은 6월 24일(토) 오전 11시에 진행된다. 이날 자연미술의 집에서는 자연미술교육프로그램도 마련하여 30여명의 어린이와 학부모들에게 전시작품 감상과 자연미술 체험의 기회도 제공할 예정이다.
2015년 야투자연미술국제레지던스 프로그램은 국제적인 작가교류를 통해 한국의 자연미술운동을 소개하고 발전시키기 위해 마련되었으며, 작가 개인 연구 및 전시 프로그램과 더불어 지역사회 주민과 함께하는 지역협력사업과 교육프로그램도 진행하고 있다. 지난 상반기 레지던스 프로그램은 6개국 6명의 작가가 참여하여 5월부터 6월까지 진행된 바 있다.
■ 작가 노트
클라우디아 아라노비시(Claudia Aranovich) / 아르헨티나
야투에 참가하기 전 아르헨티나 최남단에 있는 지역인 파타고니아에서 개최된 ‘End of the World’ 비엔날레에 참여했을 당시 얻은 아이디어를 토대로 떠있는 작품을 구상하게 되었다. 아르헨티나에서 폴리에스테르 합성수지로 작품의 기본 틀을 만들어 준비해왔다. 이것에 현지에서 얻게 되는 잎사귀, 가지, 깃털들로부터의 자연 기억들을 가미하여 작품을 완성하고 싶다. 그곳 사람들과 나의 개인적인 소망들을 적은 기록도 함께 담고자 하였다. 그 작품들을 지구반대편의 세계로부터 시작되어 이곳 특별하고 아름다운 곳인 금강에서까지 띄울 수 있다는 것은 대단히 멋진 일이었다.
나는 평소 작품에 쓰일 수 있는 자연적인 재료들과 더불어 인공적인 재료들을 수집한다. 예를 들어 천과 종이로 커다란 잎사귀를 만들거나 배를 감싸는 보호그물과 같은 나에게는 생소한 물체를 연속적으로 엮어 작품을 완성하였다. 이 보호그물들은 꽃이나 그와 유사한 유기적인 형태로 발전할 수 있는 다양한 모양으로 표현되었고, 이로써 식물들을 수집하여 표현하게 된 결정적인 계기가 되었다.
Before coming to Yatoo, I had the idea to make a floating installation following the idea of what I made for the Biennial of the End of the World, in the southernmost tip of the Argentina, in Patagonia. I prepared the basic forms in polyester resin, and carried them with me from Argentina. I desired to complete them in Korea with my “natural memories” of the residency location, such as recollections of leaves, branches, and feathers. In one of these simple forms, I included written personal wishes from myself, and the other residents. It was great to see them floating on the Geumgang river as a work which was started at the other side of the world and finished here in Korea, at such a special and beautiful site.
I usually gather natural as well as artificial materials for use in my work. As such, I made some big leaves from fabric and paper and a series of works using an object which was unknown to me, the pears protectors. These protectors inspired many different shapes and forms for playing with the idea of flowers and other similar organic shapes. Therefore, I decided to display them here as a botanical collection.
정혜숙(Jung Hye-sook) / 한국
“다시 남쪽으로 300리를 가면 광덕산 이라는 곳인데 산 위에는 소나무와 밤나무가 기슭에는 북나무, 상수리 나무가 많이 자란다. 짐승으로는 너구리, 두더지, 고라니 새로는 까투리, 멧비둘기, 참새가 많이 산다. 산 위에는 금이 기슭에는 붉은 흙이 난다. 이 곳의 어떤 동물은 생김새가 여우의 꼬리를 닮았는데 얼굴과 사지는 겉으로 드러내지 않는다. 보름달이 나오면 16개의 다리를 내어 사람 사는 집의 문과 기둥으로 다니며 바람내기를 좋아한다. 다 큰 것은 그 길이가 10척에 다다른다. 이름을 예(莠) 라고 하며 그 울음은 자신을 부르는 소리와 같고 이것이 나타나면 천하가 크게 가문다.” 『산해경 (山海經)』인용
If you go 300 ri (117.8 kilometer) further south again, a mountian named ‘Kwangduck’ comes into view, where there are many pines and chestnuts on the top and sumaches oak trees at the foot. Wild animals like raccoon, mole and elk and birds like hen pheasant, turtle dove and sparrow live in the mountian. Gold is found on the top and red earth is covered on the ground at the foot. An animal in this mountian has a similar figure to a fox’s tail, hiding its face and body. When a full moon comes out, it likes to blow wind through the doors and columns of a house with its 16 legs. The grown thing is long as 10 chucks (300 cm). Its name is ‘Ye’ and his cry sounds like calling for itself. When it appears, the world goes dry.
Quoting from ‘Sanhaekyung’
로랑 공고라(Laurent Gongora) / 프랑스
인공자연- 밤나무 고령석
10월은 밤이 열리는 시기이다. 원골 주변의 산이나 어느 곳에서든지 밤을 많이 볼 수 있다. 가시가 박힌 밤송이들이 아주 신기해서 다른 재료들과 함께 그것을 활용해 새로운 형태를 만들어 작품화하고자 하였다. 그렇게 창작된 새로운 형태가 밤송이 고령석이다. 작품을 만드는 예술가로서 이 작품이 단순히 사람이 만든 것이 아닌 자연으로부터 발견된 신비한 물체로 보이기를 바랐다.
Fake nature - Castanea kaolinite
October is the season of the chestnuts. We can find chestnuts everywhere in the mountains around Wongol. As I found their spiny shells very interesting, I decided to work with it and mix it with other materials, in order to create new forms. And new specie was born: Castanea Kaolinite. As a faker, I expect from the resulting objects that they don’t seem to be man-made but still mysterious natural things found and picked up in the nature.
바람³
원골의 논에 있는 허수아비들은 빛을 반사하거나 바람에 움직일 수 있는 알루미늄조각들로 만들어져 있다. 나는 이러한 과정을 나무 위에 위아래로 엮은 끈으로 만든 비스듬한 정육면체들을 세움으로써 활용하였다. 이른바 “역동적인 마법”이라고도 할 수 있을 만큼 바람에 의해 움직인다. 약간의 무기질을 제외하고는 정육면체는 물론 사각형 형태는 그대로 존재할 수 없게 된다. 나에게는 나뭇가지 위에서 생겨나는 나무와 이 기하학적인 형태들이 만들어내는 긴장감이 굉장히 흥미롭다.
Wind³
In the rice fields of Wongol area, the scarecrows have been replaced with a kind of aluminum strip, which reflects the light and shivers with the wind. I just use this process building a slanting cube made of vertical straps hanged on the branches of a tree. And the wind does the rest, namely kinetic enchantment. By the way, square doesn’t exist in nature, except for some minerals. Cube even less. I’m interested in the tension that can happen between the raw tree and the geometrical shape hanged on its branches
피터 립코비치(Peter Lipkovics) / 헝가리
지상낙원 (보호받은 대지)
나는 작품을 통해 자신과 자녀들의 평안한 삶을 위해 힘겹게 살아가는 한 어머니에 대한 느낌을 표현하고자 한다. 그 어머니들은 고된 삶을 살아가다 점점 몸도 늙고 쇠약해져 결국 죽음을 맞이하여 일생 동안 농사짓고 보호받으며 살아가던 땅에서 다시 휴식을 맞이하게 되는 것이다. 나는 그들이 내려다보았을 언덕에 올라 의자에 앉아보고 내려오고 다시 올라가 앉아보기를 반복해보며 그들의 삶을 이해하고자 했다. 그 결과로 잔가지들, 끈, 철선, 아도비 점토를 사용해 우리의 어머니들을 표현한 조각상을 만들었다. 그들의 몸이 산과 비슷하다는 것을 나의 작품에서 표현하고자 한다.
Earthly paradise (Protected soil)
I would like to show my impression about a hardworking old woman who suffers from her fight for providing comfort and good life to herself and her children. During this struggle their body will be deformed and they are getting older and tired and finally they will rest in the earth they have been cultivated and protected in all their lives. So I went up to the hill and I took a traditional chair with me, and I came down and I went up again and I took the next chair and so on…And after that I have made some old ladies (sculptures) from twigs, string, iron wire and adobe… I would like to show their body will be similar to the mountains body in my works.
박소영(Park So-young) / 캐나다
평형
나는 언어가 담을 수 없는 의미를 찾으려 한다. 작품 소재로 말린 꽃, 새 깃털, 빠진 머리카락, 양파 껍질, 나무뿌리, 깨진 유리, 맥주 캔과 레몬 씨앗 등 집이나 길에서, 혹은 쓰레기 통에서 흔히 볼 수 있는 일상의 물건들을 이용한다. 이것들은 우리에게 유용 가치가 없고, 따라서 의미가 없다. 나는 이러한 무가치를 통해 들어나는 의미를 찾으려 한다.
원골에 도착한 후에, 한국 가을의 온화하고 부드러운 바람이 가장 크게 다가왔다. 바람에 대해 레지던트 작품을 만들기로 마음먹고, 바람에 움직일 수 있을 가벼운 물체를 모으기 시작했다. 솔잎을 발견했을 때, 별생각이 없었지만 강력한 초록색과 친근한 직선 모양이 마음에 들었다. 단순한 호기심에 솔잎들을 하나씩 떼어 크기 순서대로 배열했다. 솔잎 사이에 일정한 공간을 두고 하나씩 실에 꼬매 벽에 걸었다. 솔잎들은 부드러운 바람에 하늘거리며 하얀 벽 위로 움직이는 선들을 만들었다. 더 이상 친숙한 모양의 소나무 잎이 아니라 나의 인위적 의도에 의해 생성된 부유하는 선들이 되었다. 차라리 이 다른 두 개의 형태 사이에서 유동한다는 것이 맞겠다. 나무 가지를 통해 이러한 느낌을 발전시키려 했다.
레지던트 기간 동안 제2차 세계 대전에 관한 소설을 읽고 있었는데, 소설 한 단락에서 공습 장면을 뿌리가 뽑혀 위 아래가 꺼꾸로 박혀있는 나무로 은유 하는 구절이 있었다. 원골에 있는 동안, 내 마음은 실제적으로 내 눈앞에 펼쳐져 있는 목가적인 풍경과 소설에 그려진 전쟁의 잔인하고 혼돈스러운 세계 사이에 갈라져 있었다. 원골 마을의 평화로운 광경이 사뭇 낯설게 느껴졌다. 지난 8월의 북한의 남침 위협을 생각해 봤을 때, 그 평화로움이 얼마나 부서지기 쉬운 것인지. 비록 빛깔, 무게, 질감 등과 같은 솔잎과 나무 가지의 물리적 속성에 초점을 맞추려했지만, 인간 세상의 이야기가 흘러 들어왔다. 마치 솔잎과 나무 가지들이 스스로 자신들의 이야기를 만드는 듯. 나는 그들의 이야기를 내 작업에 담으려 했다.
EQUILIBRIUM
I seek meaning that escapes language. As the source material of my art, I am interested in mundane useless objects such as dried flowers, bird feathers, fallen hair, onion skins, dried roots, broken glass, beer cans, and lemon seeds that I come across at home and on the streets, often in recycling or garbage bins. They are not useful to us, and thus not meaningful to us. I try to find meaning in their uselessness.
Since my arrival in Wongol, I have been greatly charmed by the gentle, mild wind of the Korean autumn. I wanted to make wind the theme of my residency project, and I collected light objects that could move with the wind. When I came across pine tree needles, it did not occur to me that I could use them. However the strong green color and familiar shape of line interested me enough to bring them with me. Then I started to break them apart and line them up in order of size, out of pure curiosity to see how they would look. I sewed them together with regular spaces between, and I hung them. They floated around in the gentle wind and created abstract moving lines on the white wall. They no longer held the familiar shapes of pine tree needles, but became floating lines generated by my artificial intention. Or rather they remained between those two modes. Then I extended this idea further, using dried twigs.
I was reading a novel about WW2 during my residency in Wongol, and one paragraph of the novel descried the scene of aerial bombardment using the metaphor of a tree that has been unrooted and turned upside down. During most of my time in Wongol, my mind was split between the idyllic scenery surrounding my physical presence, and the chaotic and brutal world of war in the novel. The peaceful scenery of the town felt almost surreal – how fragile it seemed in the context of the North Korean threats this past August.
Although I tried to focus on the physical properties of pine tree needles and twigs, such as colour, weight, texture, etc., human stories, distorted and adulterated, affected the way that I constructed associations with these physical properties, as if those objects were making their own stories. My installations of needles and twigs came out of those stories.
토티 폴리지(Tothi Folisi) / 이탈리아
살았던 경험을 바탕으로 작품 활동을 하면서 나는 자연의 다양한 면들에 집중했다. 특히, 나는 시작(詩 作) 활동을 통해 그리고 같은 주제들을 엮어서 만든 오디오 콘텐트의 창작을 통해 언어를 재해석하려고 시도하는 한국의 시인인 고은의 상상력을 바탕으로 작업했다. 나는 환경 등록에서부터 그림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매체들을 이용했다. 설치물은 텐트와 의식이 벌어지는 공간을 상징적으로 생각나게 하는 요소들로 이루어진 하나의 작은 캠프이다. 고은의 자연 시들은 중요한 요소로 간주되며, 이는 모든 사물들 안에 내재된 탈바꿈(transformation)과 완벽하게 결합된다. 그가 말했듯이, “완벽한 작품이란 어떠한 흔적도 남기지 않는다.”
In the production realized in the experience of residence I tried to focus my attention on the various aspects of nature as experience of contemplation, in particular I worked on the imagination of the Korean poet Ko Un trying to reinterpret the language through writing poems and creation of audio content that is intertwined with the same themes . I used various media from the environmental registration to painting. Installation is a small camp with tent and elements that recall symbolically to a space of ritual. The nature poems of Ko Un is seen as an important element, and this binds perfectly to the transformation that is inherent in all things. As he says: "The perfect work is the one that leaves no trace.“
■ 참고 내용
야투자연미술국제레지던스 프로그램
한적한 자연 공간에서 작업에 몰두 할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하고 있는 야투자연미술국제레지던스 프로그램은 동시대를 살아가는 작가들이 서로의 예술 세계를 접하고 교류하기 위하여 (사)한국자연미술가협회-야투에 의해 2009년부터 운영되고 있다.
본 레지던스 프로그램에 참여하는 작가들은 1981년 이후 지금까지 자연 속에서 작업하고 있는 야투그룹 작가들의 작품세계를 접할 수 있으며, 다양한 문화권에서 온 작가들이 자연 속에서 새로운 미술적 실험을 해나가는 가운데 서로의 생각을 교류하고 전시하는 기회를 가지게 될 것이다.
환경파괴로 인해 생태계가 파괴되고 그로 인한 자연 재해가 극심해지고 있는 이때 야투자연미술의 집에서의 레지던스가 자연과 인간이 상생의 조화를 이루어 낼 수 있는 새로운 자연미술미학을 함께 발전시키는 계기를 만들고 있다.
야투의 국제레지던스사업은 한국문화예술위원회의 국제교류사업지원과 더불어 지속, 성장해 왔으며, 2009~2010년 한국문화예술위원회의 다년간 국제레지던스사업으로 지원받다가 2011년부터 충청남도 지역협력형사업으로 전환된 이후 충남지역 지원대상 단체가 되었다.
(사)자연미술가협회 야투(YATOO, 野投)
(사)자연미술가협회 야투(YATOO, 野投)는 한국의 중부지방을 굽이쳐 흐르는 아름다운 금강을 끼고 있는 고도 공주를 중심으로 활동하고 있는 자연미술가단체이다. 1981년 창립 당시 20대의 젊은 작가들은 자연이 내어 주는 예술적 영감에 대한 사랑을 바탕으로 지금까지 자연과 더불어 작업하고 있다. 이제 그 역사가 사반세기를 넘어오는 동안 한국은 물론 동서양의 많은 예술가들로부터 공감대를 형성함은 물론, 최근에는 금강자연미술비엔날레를 통해 전 세계의 자연미술가들이 함께 만나 작업 할 수 있는 장을 제공하고 있다.
야투의 자연미술
야투의 자연미술은 ‘자연을 작품을 위한 장소 혹은 재료로 이용하기 보다는 자연 자체가 작품 속에서 직접 작용하는 미술’로 정의하고 있다. 따라서 야투의 작품은 간단한 설치나 행위를 통해 이루어지며 현장에 작품을 남기지 않는 경우가 많은 것이 특징이다.
서구의 대지예술(Land Art, Earth Work), 환경미술(Environ-ment Art)과 미술사적 맥락을 같이 한다고 볼 수 있으나, 야투의 자연미술은 자연의 질서를 거스르지 않으면서 살아온 한국인 고유의 자연친화적 정서를 반영하고자 하는 점에서 상호 간의 차이를 찾을 수 있다.
■ 주관 : (사)한국자연미술가협회
■ 후원 : 충청남도, 충남문화재단, 한국문화예술위원회, 공주시
■ 문의
» 담당자: 허샘이나
» 전화: 041-853-8828/8838
» 이메일: yatoo@hanmail.net
» 주소: (314-861) 충청남도 공주시 신풍면 원골예술길 181 야투자연미술의 집
» 홈페이지: www.yatoo.or.kr / www.natureartbiennale.com